인스턴스 관리하기

페이지 이동경로

인스턴스 관리하기

Virtual Machine 서비스에서 가상 머신 인스턴스를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스턴스 목록 보기

가동 중인 인스턴스 목록과 각 인스턴스의 정보를 확인, 검색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현재 가동 중인 인스턴스 목록을 확인합니다. Instance 필터를 클릭하여 원하는 속성별로 인스턴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필터 속성: Instance 이름 / Instance ID / 상태 / 타입 / Image / Private IP / Public IP / Availability Zone / 생성자 / 생성일

    이미지. Instance탭 이미지 인스턴스 목록

    구분 설명
    Instance 사용자가 지정한 인스턴스 이름 / 인스턴스 고유 ID
    상태 인스턴스의 상태 확인
    - 자세한 설명은 인스턴스 수명 주기 참고
    타입 인스턴스의 서버 타입
    - 마우스 커서를 올려 자세한 스펙(vCPU, Memory) 확인 가능
    Image 인스턴스에 설치되어 있는 이미지
    Private IP 인스턴스에 자동으로 부여된 가상 네트워크 IP 주소
    Public IP 사용자가 직접 할당하고 연결한 공인 IP 주소
    AZ 해당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있는 AZ
    생성일 인스턴스를 생성한 날짜
    - 마우스 커서를 올려 자세한 단위 확인 가능
    더보기 항목별 기능 실행
    - 자세한 설명은 인스턴스 더보기 참고

인스턴스 더보기

인스턴스의 [더보기] 아이콘을 클릭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인스턴스의 [더보기] 아이콘을 클릭한 후, 실행할 기능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Instance 더보기 이미지 인스턴스 더보기

    인스턴스 더보기

    더보기 기능 설명 실행 후 인스턴스 상태
    시작 인스턴스 시작(start)
    - 정지 또는 종료 상태의 인스턴스를 Active 상태로 전환
    Active
    정지 인스턴스 정지(stop) Stopped
    재시작 인스턴스 재시작(soft reboot) Active
    강제 재시작 인스턴스 강제 재시작(hard reboot) Active
    종료 인스턴스 종료(shelve) Shelved_offloaded
    Instance 이름 변경 인스턴스 이름과 설명을 수정하기 위한 팝업창 실행 -
    Instance 타입 변경 인스턴스의 타입을 변경(resize)하기 위한 팝업창 실행 -
    Security Group 설정 인스턴스에 적용할 시큐리티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팝업창 실행 -
    Public IP 연결 인스턴스에 공인 IP 연결을 위한 팝업창 실행
    - 프로젝트 관리자만 사용 가능
    -
    Public IP 연결 해제 인스턴스에 공인 IP 연결을 해제하기 위한 팝업창 실행
    - 프로젝트 관리자만 사용 가능
    -
    출발지/목적지 모드 설정 IP/Mac주소 체크 해제 모드(allowed_address_pairs)를 설정할 수 있는 팝업창 실행 -
    SSH 연결 인스턴스에 SSH 연결하기 위한 방법을 안내하는 팝업창 실행
    - Linux 계열의 OS가 설치된 인스턴스에서 사용 가능
    -
    RDP 연결 인스턴스에 RDP 연결하기 위한 방법을 안내하는 팝업창 실행
    -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조회 가능
    - Windows OS가 설치된 인스턴스에서 사용 가능
    -
    시스템 로그 확인 인스턴스에 저장된 시스템 로그를 확인할 수 있는 팝업창 실행
    - 감사 설정된 시스템의 모든 기록을 담고 있는 데이터로 프로그램의 동작 상황 등의 경과 확인 가능
    - Windows OS가 설치된 인스턴스에서는 미지원
    -
    Image 만들기 인스턴스의 루트 볼륨을 이미지로 생성하기 위한 팝업창 실행
    - 백업된 이미지로 다시 인스턴스 생성 가능
    - 인스턴스가 stopped, active 상태에서 실행 가능
    -
    Instance 삭제 인스턴스를 완전히 종료 후 반납 -

안내
인스턴스 Image 만들기 시 인스턴스가 active인 상태에서도 실행 가능하지만, 데이터 정합성 측면에서 인스턴스가 stopped인 상태에서 실행을 권고합니다.

인스턴스 상세 보기

인스턴스의 세부 정보, 인스턴스와 연결된 네트워크, 보안, 볼륨, 액션 로그,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인스턴스를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의 상세 페이지에서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인스턴스 상세 페이지 이미지 인스턴스 상세 페이지

    구분 설명
    ➀ Instance 이름 인스턴스 이름과 설명
    ➁ 더보기 [더보기] 버튼 클릭 시, 실행 가능한 전체 기능 목록 확인 가능
    - 기능 목록은 인스턴스 더보기 참고
    ➂ Instance 상태 인스턴스의 현재 상태
    ➃ Instance 상태 변경 인스턴스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
    ➄ 빠른 실행 빠른 실행 기능
    - 전체 기능은 [더보기] 아이콘 클릭
    ➅ 탭 인스턴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탭별로 확인
    - 자세한 설명은 세부 정보, Network, Security, Volume, Action Long, Monitoring 참고

세부 정보

해당 인스턴스의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인스턴스를 클릭합니다.
  3. 세부 정보 탭에서 해당 인스턴스의 상세 정보를 확인합니다.

    세부정보 탭

    구분 설명
    Instance 이름 인스턴스 이름
    Instance ID 인스턴스 고유 ID
    - 아이콘 클릭하여 복사 가능
    Host name Privat IP 형태로 자동 생성된 호스트네임
    Availability Zone 해당 인스턴스를 보관하고 있는 AZ
    생성자 해당 인스턴스를 만든 사용자
    생성일 인스턴스의 생성일시 (생성일시로부터 경과 시간 )
    Type 인스턴스 생성 시, 선택한 인스턴스 타입
    vCPU vCPU의 개수
    Image 인스턴스의 이미지 이름
    Memory 생성 시, 선택한 메모리 사이즈
    Key Pair 인스턴스의 키페어
    Volume 인스턴스에 적용된 볼륨 개수
    - 링크 클릭 시, 볼륨 탭으로 이동

Network

해당 인스턴스의 네트워크와 IP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내
모든 Virtual Machine 인스턴스는 VPC 환경에서 제공합니다. VPC에서 네트워크와 보안 기능을 제공하며, 필요한 네트워크 요구사항에 따라 논리적으로 분리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VPC > Overview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인스턴스를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의 상세 페이지에서 Network 탭을 클릭한 후,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인스턴스 상세_Network 이미지 Network

    Network 탭

    구분 설명
    VPC 인스턴스의 VPC 이름
    VPC ID 인스턴스의 VPC ID
    - 링크 클릭 시, VPC > Network 탭으로 이동
    Subnet 인스턴스의 Subnet 이름
    Subnet ID 인스턴스의 Subnet ID
    - 링크 클릭 시, VPC > Subnet 탭으로 이동
    Public IP 인스턴스의 공인 IP
    Public DNS 인스턴스의 공인 DNS
    - Public IP 연결 시, 자동으로 생성되어 조회 가능
    Private IP 인스턴스의 사설 IP
    Private DNS 인스턴스의 사설 DNS

Security

해당 인스턴스에 적용된 시큐리티 그룹과 정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시큐리티 그룹 설정하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보안 정보를 확인할 인스턴스를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의 상세 페이지에서 Security 탭을 클릭한 후,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인스턴스 상세_Security 이미지 Security

    Security 탭

    구분 설명
    Security Group 설정된 Security Group 목록
    세부 정책 설정된 Security Group의 세부 정책
    - Inbound 탭: 적용된 시큐리티 그룹의 인바운드 규칙
    - Outbound 탭: 적용된 시큐리티 그룹의 아웃바운드 규칙

Volume

인스턴스에 연결된 볼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볼륨/스냅샷 관리하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볼륨 정보를 확인할 인스턴스를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의 상세 페이지에서 Volume 탭을 클릭한 후,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인스턴스 상세_Volume 이미지 Volume

Action Log

어떤 사용자가 어떤 작업 명령을 실행했는지 액션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액션 로그 정보를 확인할 인스턴스를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의 상세 페이지에서 Action Log 탭을 클릭한 후,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액션 로그탭 이미지 Action Log

    Action Log 탭

    구분 항목 설명
    요청 ID - 요청 로그의 고유 ID
    타입 Create 인스턴스 생성 액션
      delete 인스턴스 삭제 액션
      stop 인스턴스 정지 액션
      shelve 인스턴스 종료 액션
      start 인스턴스 시작 액션
      reboot 인스턴스 재부팅 액션
      revertResize 인스턴스 타입 변경을 되돌리는 액션
      confirmResize 인스턴스 타입 변경을 확인하는 액션
      resize 인스턴스 타입 변경하는 액션
      attach_interface 인스턴스에 인터페이스 연결하는 액션
      detach_interface 인스턴스에 인터페이스 해제하는 액션
      attach_volume 인스턴스에 볼륨 연결하는 액션
      detach_volume 인스턴스의 볼륨을 연결 해제하는 액션
      detach_interface 인스턴스에서 볼륨 연결 해제하는 액션
      createImage 인스턴스 이미지 생성하는 액션
    유저 이름 - 액션을 실행한 유저의 계정 아이디
    요청 일시 - 액션 실행 일시

Monitoring

모니터링을 활용해 자원을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관리에 필요한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모니터링은 기본 모니터링과 상세 모니터링으로 구분됩니다.

기본 Monitoring

기본 모니터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액션 로그 정보를 확인할 인스턴스를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의 상세 페이지 > Monitoring 탭에서 기본 Monitoring 탭을 클릭한 후,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기본 Monitoring 이미지 기본 Monitoring

    구분 설명
    ➀ 탭 구분 기본 모니터링/상세 모니터링 중 선택
    ➁ 데이터 기간 모니터링 그래프에 보일 데이터의 기간
    - 기간: 1시간(기본값) / 3시간 / 12시간 / 1일 / 7일
    ➂ 새로고침 자동 새로고침 주기 설정 및 수동 새로고침 버튼

    기본 모니터링 제공 데이터

    항목 설명
    vCPU Usage (Core) 시간에 따른 총 vCPU의 사용량
    Disk Read/Write Bytes 시간에 따른 디스크(볼륨) Read, Write 사용량
    Network RX 시간에 따른 네트워크 RX의 사용량
    Network TX 시간에 따른 네트워크 TX의 사용량

상세 Monitoring

모니터링 에이전트를 설치한 후, 상세 모니터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링 에이전트 설치하기

상세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에이전트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액션 로그 정보를 확인할 인스턴스를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의 상세 페이지 > 모니터링 탭에서 상세 Monitoring 탭을 클릭한 후, [설치 가이드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이미지. 상세 Monitoring 이미지 상세 Monitoring_에이전트 설치

  4. 모니터링 에이전트를 설치한 후, [모니터링 정책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5. Monitoring에서 메트릭 정책 탭을 클릭한 후, [새 메트릭 정책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6. Monitoring에서 메트릭 정책 탭을 클릭한 후, [로그 정책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상세 모니터링하기

상세 모니터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액션 로그 정보를 확인할 인스턴스를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의 상세 페이지 > Monitoring 탭에서 상세 Monitoring 탭을 클릭한 후,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상세 Monitoring 이미지 상세 Monitoring

    구분 설명
    ➀ 탭 구분 기본 모니터링 / 상세 모니터링 중 선택
    ➁ 인스턴스에 적용된 모니터링 정책 모니터링 서비스 페이지에서 상세한 모니터링 정책 설정 가능
    ➂ 모니터링 그래프 모니터링 그래프에 보일 데이터의 기간
    - 1시간(기본값) / 3시간 / 12시간 / 1일 / 7일 자동 새로고침 주기 설정 및 수동 새로고침 버튼

    상세 모니터링 제공 데이터

    항목 설명
    CPU - 총 사용량 (%) 시간에 따른 CPU의 총 사용량
    CPU - 코어별 사용량 (%) 시간에 따른 CPU의 코어별 사용량
    CPU - 지표별 사용량 (%) 시간에 따른 CPU의 지표별 사용량
    Memory - 총 사용량 (%) 시간에 따른 Memory의 총 사용량
    Memory - 지표별 사용량 (Bytes) 시간에 따른 Memory의 지표별 사용량
    FileSystem - 마운트별 사용량 (%) 시간에 따른 FileSystem의 마운트 Path별 사용량
    FileSystem - 마운트별 사용량 (Bytes) 시간에 따른 FileSystem의 마운트 Path별 사용량
    FileSystem - 마운트별 inode 사용량 (%) 시간에 따른 FileSystem의 마운트 inode별 사용량
    Disk - 디바이스별 Read (Bytes) 시간에 따른 Disk IO Read의 디바이스별 사용량
    Disk - 디바이스별 Write (Bytes) 시간에 따른 Disk IO Write의 디바이스별 사용량
    Disk - 디바이스별 Read (IOPS) 시간에 따른 Disk IO Read의 디바이스별 사용량
    Disk - 디바이스별 Write (IOPS) 시간에 따른 Disk IO Write의 디바이스별 사용량
    Network - 인터페이스별 RX (Bytes) 시간에 따른 네트워크 RX의 인터페이스별 사용량
    Network - 인터페이스별 TX (Bytes) 시간에 따른 네트워크 TX의 인터페이스별 사용량
    Network - 인터페이스별 RX (PPS) 시간에 따른 네트워크 RX의 인터페이스별 사용량
    Network - 인터페이스별 TX (PPS) 시간에 따른 네트워크 TX의 인터페이스별 사용량

제한 안내
일부 모니터링 지표는 Linux OS가 설치된 서버에서만 제공됩니다.
- CPU 지표별 사용량 (%) : iowait, irq, softirq, steal
- FileSystem 마운트별 inode 사용량 (%)

Public IP 연결하기

Public IP를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권한 안내
프로젝트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Public IP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Public IP 연결을 진행할 인스턴스의 [더보기] 아이콘 > Public IP 연결 을 선택합니다.
  3. Public IP 연결 설정 팝업창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Public IP 연결 설정 이미지 Public IP 연결 설정

Public IP 연결 해제하기

연결된 Public IP 연결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권한 안내
프로젝트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Public IP 연결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주의
Public IP가 연결된 자원을 삭제하지 않고 연결만 해제한 경우, 실제 자원이 반납되지 않기에 미사용 시에도 과금됩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Public IP 연결을 해제할 인스턴스의 [더보기] 아이콘 > Public IP 연결 해제를 클릭합니다.
  3. Public IP 연결 해제 팝업창에서 정보를 확인하고, “인스턴스와 연결된 Public IP를 연결 해제한 후 자동으로 삭제합니다.”에 체크합니다.

    이미지. Public IP 연결 해제 이미지 Public IP 연결 해제

  4. [연결 해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시큐리티 그룹 설정하기

시큐리티 그룹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시큐리티 그룹을 설정할 인스턴스의 [더보기] 아이콘 > Security Group 설정을 클릭합니다.
  3. Security Group 설정 팝업창에서 인스턴스에 적용할 시큐리티 그룹을 선택합니다.
    • 시큐리티 그룹을 여러 개 적용하면 각 시큐리티 그룹에 있는 모든 정책이 인스턴스에 적용됩니다.
    • 적용된 정책은 Inboud/Outbound 탭에서 정책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시큐리티 그룹 설정 이미지 시큐리티 그룹 설정하기

  4.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인스턴스 삭제하기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인스턴스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주의
삭제한 인스턴스 자원은 종료 후 완전히 반납되며 복구할 수 없습니다.
인스턴스 생성 시 인스턴스와 함께 삭제 옵션을 선택한 볼륨은 함께 삭제됩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탭에서 삭제할 인스턴스의 [더보기] 아이콘 > Instance 삭제를 클릭합니다.
  3. Instance 삭제 팝업창에서 인스턴스의 이름을 입력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인스턴스 삭제 이미지 인스턴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