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턴스 생성하기
인스턴스는 가상화된 하드웨어 리소스로 다양한 인스턴스 타입의 서버를 구성합니다. Virtual Machine 서비스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내
인스턴스 생성 시 유의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운로드한 프라이빗 키 파일은 안전하게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 잘못된 사용자 스크립트를 입력하거나 실행이 완료되지 않는 스크립트를 입력할 시에는 OS 부팅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 인스턴스 생성 시 인스턴스와 함께 삭제 옵션을 선택하지 않은 볼륨은 인스턴스가 삭제되어도 연결 해제된 볼륨으로 계속 유지되며 과금됩니다. 해당 경우, 볼륨 목록에서 직접 삭제해야 합니다.
-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 Instance 탭에서 [인스턴스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인스턴스 만들기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인스턴스 만들기
항목 구분 설명 ① 기본 정보 인스턴스 개수 생성할 인스턴스 개수
- 1~10개까지 동시 생성 가능
- [+], [-] 버튼 클릭하여 개수 조절 또는 숫자 입력인스턴스 이름 인스턴스 이름 입력
- 영어로 시작하며 영문 소문자, 숫자,-
,_
만 입력 가능(예시: instance-01_01)
- 같은 프로젝트 내 중복된 인스턴스 이름 사용 가능
- 2개 이상의 인스턴스 생성 시 최초 생성한 인스턴스의 이름을 기준으로 자동 입력됨
- Linux 계열 OS: 4~63자 이내 입력
- Window OS: 4~63자 이내 입력설명(선택) 인스턴스 설명
- 100자 이내 입력② 이미지 - [설정하기] 버튼 클릭 후, 이미지 선택 팝업창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
- 기본 이미지 탭: Kakao i Cloud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미지
- 내 이미지 탭: 해당 프로젝트에서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이미지 및 다른 프로젝트에서 공유받은 이미지
ㄴ 이미지의 이름과 설명 수정 및 삭제 가능
ㄴ 다른 프로젝트에서 공유받은 이미지는 이미지 정보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
- 마켓플레이스 탭: 파트너사(3rd party)가 판매하는 이미지③ 인스턴스 타입 - 해당하는 유형의 탭을 선택하고, 해당 유형에서 지원하는 인스턴스 타입 중 선택
- 자세한 설명은 카카오 i 클라우드 공식 사이트 > Virtual Machine 요금 참고④ 볼륨 - 인스턴스에 연결될 볼륨의 타입과 크기 설정
- 볼륨: 볼륨의 이름
ㄴ Root Volume이 기본값으로 표시되며, 필요시 연결할 볼륨을 추가 가능
- 타입: 현재(2022년 11월)SSD
타입만 지원, 추후 다양한 타입 지원 예정
- 크기: 1 ~ 5,120GB 크기로 생성 가능
ㄴ선택한 이미지에 따라 최소, 최대 용량 제한 다름)
ㄴ Root Volume은 선택한 이미지에 따라 Root Volume의 크기가 자동 입력됨
- 인스턴스와 함께 삭제: 선택 시 인스턴스 삭제할 때 해당 볼륨 함께 삭제됨
ㄴ 선택하지 않은 볼륨은 인스턴스가 삭제되어도 연결 해제된 볼륨으로 유지됨
- 볼륨 추가: 인스턴스 한 대에 연결할 수 있는 볼륨을 추가
ㄴ 최대 9개 추가 가능⑤ 키페어 - 인스턴스에 적용할 키페어 선택
- 카카오 i 클라우드에서 기존에 생성 및 추가한 키페어 선택 가능
- 새 키페어 만들기를 클릭해 새로운 키페어를 생성 및 할당 가능
ㄴ 키페어 이름: 영어로 시작하며 영문 소문자, 숫자,-
만 입력 가능(예시: keypair-01)
- 키페어 생성 시 자동으로{키페어 이름}.pem
프라이빗 키 파일 다운로드⑥ 네트워크 - 인스턴스를 구성할 네트워크에 생성된 VPC와 Subnet을 선택
- 새로운 VPC와 Subnet이 필요한 경우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 > VPC에서 생성 필요
-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공인 IP는 인스턴스 생성 후 공인 IP 연결에서 할당 가능
ㄴ 자세한 설명은 공인 IP 연결하기 참고⑦ 시큐리티 그룹 - 인스턴스에 적용할 시큐리티 그룹 선택
- 새로운 시큐리티 그룹을 설정 시: 시큐리티 그룹 이름과 설명 입력
- 기존에 생성된 시큐리티 그룹 중에서 선택 시: 원하는 시큐리티 그룹 이름 선택
- 인스턴스 생성 시, 1개의 시큐리티 그룹만 설정할 수 있으며 추가 시큐리티 그룹 설정은 생성 이후 가능자세히 시큐리티 그룹 정책
- 인바운드 정책 탭 : 인바운드 정책으로, 1단계에서 선택한 OS 이미지별로 기본 설정값 다름
ㄴ Linux 계열: TCP 22번 포트 허용
ㄴ Windows: TCP 3389번 포트 허용
ㄴ Windows + MSSQL: TCP 3389, 1433번 포트 허용
- 아웃바운드 정책 탭: 아웃바운드 정책으로, 전체 프로토콜의 전체 포트 허용⑧ 고급 설정 사용자 스크립트 사용자 스크립트 입력 또는 실행
- 인스턴스 시작 시, 사용자 데이터를 실행하여 초기 환경 구성을 자동으로 실행
- 사용자 데이터 스크립트 및 cloud-init 명령을 16KB 이내로 입력하거나 파일로 업로드 가능
- 입력된 명령들은 인스턴스를 최초로 시작할 때만 실행
- 사용자 데이터 스크립트는/var/lib/cloud/instances
하위에 복사되어 실행
- 스크립트 실행 로그 확인 시 다음 명령어 실행
ㄴ Ubnutu:sudo cat /var/log/syslog
또는sudo journalctl -u cloud-final.service
ㄴ CentOS:sudo cat /var/log/messages
또는sudo journalctl -u cloud-final.service
안내
- 23. 1. 16일 부터 생성되는 인스턴스는 호스트네임이 Private IP 형태로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예. host-100-100-17-22)
- 인스턴스 생성 후, 네트워킹 단계에서 host-IP 형식으로 갱신되며 인스턴스 생성 후 잠시동안 인스턴스 이름으로 hostname이 보일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연결하기
SSH 또는 RDP를 사용하여 인스턴스에 연결합니다.
인스턴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OS 이미지에 따라 시큐리티 그룹 설정을 해야 하며, 공인/사설 IP로 접근할 수 있도록 접속 환경을 준비해야 합니다.
표 운영체제별 접속 환경
OS | 시큐리티 그룹 정책 | 허용 포트 |
---|---|---|
Linux | Inbound | TCP 22번(기본값) 포트 |
Windows | Inbound | TCP 3389번(기본값) 포트 |
Linux 인스턴스에 연결하기
Linux 인스턴스는 ssh 명령어를 사용해 연결합니다.
SSH 클라이언트 준비하기
ssh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SSH 클라이언트를 설치해야 합니다. SSH 클라이언트 설치 시 운영체제별 준비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운영체제별 SSH 클라이언트 준비
OS | 준비 사항 |
---|---|
Linux/macOS | SSH 클라이언트 설치 후 터미널에서 ssh 명령어 사용 |
Windows | OpenSSH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여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ssh 명령어 사용 또는 PuTTY 등 별도의 SSH 클라이언트 설치 |
SSH 연결하기
ssh 명령어를 사용하여 인스턴스에 연결합니다. 소지한 프라이빗 키(.pem
) 파일의 경로와 파일 이름, 사용자 이름과 연결할 인스턴스의 주소를 입력해 연결할 수 있습니다.
코드 예제 SSH 연결 명령어
ssh -i PATH_TO_PRIVATE_KEY USERNAME@INSTANCE_IP
명령어 | 설명 |
---|---|
PATH_TO_PRIVATE_KEY | 프라이빗 SSH 키 경로 |
USERNAME | 인스턴스에 연결하는 사용자 이름 |
INSTANCE_IP | 인스턴스가 가지고 있는 IP - 접속 환경에 맞게 공인 IP 또는 사설 IP 입력 |
Windows 인스턴스에 연결하기
RDP 연결 후, 원격 PC 연결을 설정하여 Windows 인스턴스를 연결합니다.
Step.1 RDP 연결하기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Windows OS가 설치된 인스턴스의 RDP 연결을 진행합니다.
안내
- 인스턴스 연결을 위한 초기 비밀번호 세팅은 인스턴스 생성 요청 이후 약 20분 소요됩니다.
- 최초 키페어 파일을 통해 획득한 비밀번호로만 접속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 변경 시 사용자가 직접 운영체제(OS)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는 최초 획득한 비밀번호만 안내하며, 이후 변경된 비밀번호는 안내하지 않습니다.
-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Virtual Mach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 Instance 탭에서 인스턴스의 [더보기] 아이콘 > RDP 연결을 클릭합니다.
- 인스턴스 생성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사용자 이름은
Administrator
입니다.
- 인스턴스 생성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사용자 이름은
- [파일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여 인스턴스에 연결된 키페어(
.pem
) 파일을 업로드해 비밀번호를 획득합니다.- 선택한 개인키(Private Key)는 서버로 전송되지 않습니다.
Step 2. 원격 PC 연결하기
Windows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설정한 원격 PC(데스크톱)를 설정해야 합니다.
Windows 사용자
-
시작 > 설정 > 시스템 > 원격 데스크톱을 클릭하거나, 검색창에
원격 데스크톱 연결
을 입력하여 원격 데스크톱을 실행합니다.이미지 원격 데스크톱 연결 - Windows 사용자
- 원격 데스크톱 연결 팝업창에서 해당 인스턴스의 접속 환경에 적합한 공인 IP 또는 사설 IP를 입력하고,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
- 다른 포트 번호를 사용하도록 인스턴스를 구성한 경우, IP 주소 뒤에 포트 번호를 추가합니다.(예시: 10.0.0.0:1234)
- 사용자 자격 증명 입력에서 사용자의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 후, 해당 Windows 인스턴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macOS 사용자
-
App Store에서 Microsoft Remote Desktop을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 설치된 App을 실행한 후, [생성(+)] 버튼을 클릭하고, Add PC을 선택하여 원격 데스크톱을 추가합니다.
- 해당 인스턴스의 접속 환경에 맞게 공인 IP 또는 사설 IP를 입력합니다.
- 다른 포트 번호를 사용하도록 인스턴스를 구성한 경우, IP 주소 뒤에 포트 번호를 추가합니다. (예시: 10.0.0.0:1234)
이미지 원격 데스크톱 추가 - macOS 사용자
-
User account에서 Add a User Account을 선택합니다.
-
Add a User Account에서 원격 PC에 해당하는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합니다.
- 등록된 데스크톱을 더블 클릭하면 해당 Windows 인스턴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주의
같은 네트워크(VPC) 안에 동일한 호스트명인 인스턴스가 있을 경우, 일부 네트워크 기능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직접 호스트명을 변경할 경우 유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