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턴스 그룹 관리하기

페이지 이동경로

인스턴스 그룹 관리하기

인스턴스 그룹은 다수의 인스턴스로 구성된 객체로, 사용자는 조회 및 모니터링, 삭제 등의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Redis 서비스에서 인스턴스 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의
시스템 가용 메모리의 사용률이 최대 50%가 넘지 않도록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관리를 권장합니다.
카카오 i 클라우드 Redis 서비스는 현재 maxmemory에 대한 설정이 시스템 가용 메모리의 약 65%로 설정되어 있으며, 최대 메모리에 도달 시 allkeys-lru 정책에 의해 모든 키 중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았던 키를 삭제하게 됩니다.

인스턴스 그룹 목록 보기

사용자가 프로젝트 내에 생성한 Redis 인스턴스 그룹 목록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Redis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Group 탭에서 현재 생성된 인스턴스 그룹 목록을 확인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Redis 인스턴스 그룹 목록

    항목 설명
    인스턴스 그룹 이름 인스턴스 그룹 생성 시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
    - 인스턴스 그룹 이름을 클릭해 인스턴스 그룹의 상세 정보 확인 가능
    상태 현재 인스턴스 그룹 상태
    - 상세 상태값 정보는 인스턴스 그룹 수명 주기 및 상태값 참고
    엔진 버전 인스턴스에 기동된 Redis 엔진의 버전
    인스턴스 타입 인스턴스 그룹 생성 시 사용자가 선택한 인스턴스 타입
    - 인스턴스 타입 값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해당 타입의 vCPU, Memory 정보 확인 가능
    - 인스턴스 타입의 종류는 인스턴스 타입 참고
    Primary 엔드포인트 Redis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읽기/쓰기용 엔드포인트 주소
    - Primary 엔드포인트 값 클릭 시 복사 가능
    인스턴스 수 인스턴스 그룹 내 생성된 인스턴스 수
    가동 시간 인스턴스 그룹 생성이 시작된 시간부터 현재까지의 가동 시간
    - 가동 시간 값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인스턴스 그룹 생성일 확인 가능
    생성자 처음 인스턴스 그룹 생성을 요청한 사용자

인스턴스 그룹 상세 보기

프로젝트 내 생성한 Redis 인스턴스 그룹의 세부 정보, 인스턴스 목록,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Redis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Group 탭에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인스턴스 그룹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Redis 인스턴스 그룹 선택

  3. 모니터링 탭을 클릭한 후,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Redis 인스턴스 그룹 상세 정보

    항목 정보 설명
    세부 정보 탭 인스턴스 그룹 이름 인스턴스 그룹을 생성할 때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
      생성자 인스턴스 그룹을 처음 생성 요청한 사용자
      생성일 인스턴스 그룹 생성을 요청한 시간
      엔진 버전 인스턴스에 기동된 Redis 엔진의 버전
      네트워크 인스턴스 그룹 생성 시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네트워크
      Primary 엔드포인트 읽기/쓰기가 가능한 엔드포인트
      Read 엔드포인트 읽기 전용인 엔드포인트
      인스턴스 타입 인스턴스 그룹 생성 시 사용자가 선택한 인스턴스 타입
    - 인스턴스 타입의 종류는 인스턴스 타입 참고
      vCPU 인스턴스 그룹 생성 시 사용자가 선택한 인스턴스 타입에 할당된 Virtual CPU의 개수
      Memory 인스턴스 그룹 생성 시 사용자가 선택한 인스턴스 타입에 할당된 Memory 크기
      인스턴스 수 인스턴스 그룹 내 생성된 인스턴스 수
    - 인스턴스 목록 탭에서 인스턴스 그룹에 속한 인스턴스 목록과 상태 확인 가능
      License Redis 엔진의 라이선스 정보
      포트 인스턴스에 기동된 Redis의 접속 포트
    인스턴스 목록 탭 인스턴스 이름 인스턴스의 이름으로 자동 지정됨
    - 형식: {인스턴스 그룹 이름}+{nnn}
      상태 인스턴스 상태
    - 상세 상태 정보는 인스턴스 그룹 수명 주기 및 상태값 참고
      역할 인스턴스에 부여된 역할
    - 상세 역할 정보는 인스턴스 참고
      가동 시간 인스턴스 생성이 시작된 시간부터 현재까지 가동 시간
      생성일 인스턴스가 생성된 시간

인스턴스 그룹 모니터링하기

모니터링 탭에서는 인스턴스 그룹 내 속한 인스턴스들의 상태를 세부적으로 확인하여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인스턴스를 관리하고, 관리에 필요한 리소스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Redis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Group 탭에서 모니터링할 인스턴스 그룹을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 그룹의 상세 페이지에서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모니터링 탭

    모니터링 탭

    구분 설명
    ① 데이터 기간 모니터링 그래프에 보여질 데이터의 기간
    - 1시간(기본값) / 3시간 / 12시간 / 1일 / 7일
    ② 모니터링 인스턴스 모니터링할 인스턴스 선택
    ③ 조회 항목 모니터링을 조회할 항목 선택
    - Redis / CPU / Memory / Network
    - 전체 항목 기본 조회
    - 항목 복수 선택 가능
    ④ 자동 새로고침 주기 자동 새로고침 주기 설정
    - 자동 새로고침 안 함(기본값) / 10초 / 30초 / 1분 / 5분
    ⑤ 수동 새로고침 모니터링 결과 수동 새로고침

    모니터링 제공 데이터

    항목 모니터링 데이터 설명
    Redis 명령 별 호출(횟수/sec) 시간에 따른 초당 명령 별 호출 횟수
    Redis Connections(개수) 시간에 따른 Connections 개수
    - 최대 Connections: 최대 연결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개수
    - 활성 Connections: 현재 연결된 클라이언트 개수
    Redis Cache hit Ratio(%) 시간에 따른 Redis 적중률
    Redis 만료 및 제거된 키(개수) 시간에 따른 만료 및 제거된 키의 개수
    CPU 총 사용량(%) 시간에 따른 CPU의 총 사용량
    Memory 총 사용량(%) 시간에 따른 Memory의 총 사용량
    Memory 유형별 사용량(Bytes) 시간에 따른 Memory의 유형별 사용량
    Network 인터페이스별 RX(Bytes/sec) 시간에 따른 초당 네트워크 RX 사용량
    Network 인터페이스별 TX(Bytes/sec) 시간에 따른 초당 네트워크 TX 사용량
    Network 인터페이스별 RX(PPS) 시간에 따른 초당 네트워크 RX Packet 사용량
    Network 인터페이스별 TX(PPS) 시간에 따른 초당 네트워크 TX Packet 사용량

고가용성 설정하기

Redis 서비스가 사용자에 대한 편의성 제공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제공하는 고가용성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고가용성 기능을 사용하면, 인스턴스 장애 시 자동으로 조치합니다. 고가용성 기능은 별도 서비스 중단 없이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단, 고가용성 기능을 사용하도록 변경하기 위해서는 인스턴스 그룹이 Running 상태여야 하며 최소 1개 이상의 Replica 인스턴스가 필요합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Redis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Group 탭에서 고가용성을 설정할 인스턴스 그룹의 [더보기] 아이콘 > 고가용성 설정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고가용성 설정

  3. 고가용성 설정 팝업창에서 사용 여부를 설정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고가용성 설정 팝업창

  4. 인스턴스 그룹의 상세 페이지에서 고가용성 사용 여부가 정상적으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고가용성 사용 여부 확인

인스턴스 그룹 삭제하기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인스턴스 그룹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주의
삭제한 Redis 인스턴스 그룹의 자원은 종료 후 완전히 반납되어 복구할 수 없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Redis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Group 탭에서 삭제할 인스턴스 그룹의 [더보기] 아이콘 > Redis 인스턴스 그룹 삭제를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그룹 삭제

  3. Redis 인스턴스 그룹 삭제 팝업창에서 삭제할 Redis 인스턴스 그룹의 이름을 입력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그룹 삭제 팝업창

인스턴스 관리하기

인스턴스는 인스턴스 그룹에 포함된 VM(Virtual Machine)입니다. Redis 서비스에서 인스턴스 그룹 내 인스턴스를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스턴스 추가하기

인스턴스 그룹에 인스턴스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그룹에 인스턴스를 추가하면 서비스 중단 없이 Replica 역할의 인스턴스가 추가됩니다.

안내
인스턴스와 인스턴스 그룹의 상태값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인스턴스 수명 주기 및 상태값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Redis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Group 탭에서 인스턴스를 추가할 인스턴스 그룹을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 목록 탭을 클릭한 후, [인스턴스 추가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추가

  4. 인스턴스 추가하기 팝업창에서 선택된 인스턴스 그룹을 확인하고, [추가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추가하기 팝업창

  5. Instance Group 탭에서 인스턴스 추가를 요청한 인스턴스 그룹의 상태가 ScalingOut으로 변경되고, 인스턴스가 추가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SclingOut 상태 확인

  6. 인스턴스 그룹 상세 페이지의 인스턴스 목록 탭에서 신규 인스턴스의 상태가 Provisioning에서 Running으로 변경될 때까지 대기합니다.
    • 추가된 신규 인스턴스의 역할은 Replica로 부여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Provisioning 상태 확인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역할 확인

  7. 인스턴스 추가가 모두 완료되면, 해당 인스턴스 그룹 상태는 Running으로 변경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그룹 Running 상태 확인

인스턴스 승격하기

운영 중 인스턴스 그룹의 Primary 인스턴스를 변경해야 할 경우, Replica 인스턴스 중 1개를 Primary 인스턴스로 승격할 수 있습니다. 단, 고가용성 기능을 사용 중인 인스턴스와 1개의 인스턴스 구성은 인스턴스 승격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인스턴스 승격 불가 항목

인스턴스 승격 불가 항목 설명
고가용성 기능을 사용하는 인스턴스 고가용성 기능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승격을 수행해주기 때문에 수동 승격 기능은 미지원
1개의 인스턴스로 구성된 인스턴스 그룹 1 개의 인스턴스로 구성된 인스턴스 그룹의 경우 Replica 인스턴스가 없으므로 승격을 수행할 수 없음
- Redis 인스턴스 그룹 내 Replica 인스턴스를 추가한 후 승격 가능

안내
고가용성 기능을 사용할 경우 승격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Redis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Group 탭에서 인스턴스를 추가할 인스턴스 그룹을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 목록 탭을 클릭한 후, 승격할 인스턴스의 [더보기] 아이콘 > 승격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승격

  4. 승격 팝업창에서 승격할 인스턴스를 확인하고, [승격]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승격 팝업창

  5. 인스턴스 승격이 진행 중인 인스턴스 그룹의 상태가 Running에서 SwitchingOver로 변경될 때까지 대기합니다.
    • 승격이 진행되는 동안에 인스턴스 그룹의 상태는 변경되지만, 완료되기 전까지 인스턴스의 역할은 기존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SwitchingOver 상태 확인 1

    이미지

    이미지 SwitchingOver 상태 확인 2

  6. 승격이 완료되면 인스턴스 그룹은 Running 상태로 다시 변경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그룹 Running 상태 확인

  7. 인스턴스 목록 탭에서 승격된 인스턴스의 역할이 Replica에서 Primary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Primary 인스턴스는 1개만 생성 가능하므로, 기존 Primary 인스턴스는 Replica로 역할이 변경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승격 확인

인스턴스 삭제하기

서비스 중단 없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인스턴스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단, Primary 인스턴스는 Failed 상태에서만 삭제할 수 있습니다. Failed 상태가 아닌 Primary 인스턴스를 삭제하려면 Replica 인스턴스로 변경한 후에 삭제할 수 있습니다.

주의
삭제한 Redis 인스턴스의 자원은 종료 후 완전히 반납되어 복구할 수 없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Redis 메뉴를 선택합니다.
  2. Instance Group 탭에서 삭제할 인스턴스가 속한 인스턴스 그룹을 클릭합니다.
  3. 인스턴스 목록 탭을 클릭한 후, 삭제할 인스턴스의 [더보기] 아이콘 > Redis 인스턴스 삭제를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삭제

  4. Redis 인스턴스 삭제 팝업창에서 삭제할 Redis 인스턴스의 이름을 입력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Redis 인스턴스 삭제 팝업창

  5. 인스턴스 삭제가 진행되는 동안 인스턴스 그룹의 상태는 ScalingIn으로 변경되고, 해당 인스턴스 그룹 내 삭제 중인 인스턴스의 상태는 Terminating으로 변경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그룹 ScalingIn 상태 확인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Terminating 상태 확인

  6. 삭제된 인스턴스 그룹의 상태가 Running으로 최종 변경되는지 확인합니다.

    • 삭제된 인스턴스는 더 이상 조회되지 않습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스 그룹 상태 확인

안내
인스턴스와 인스턴스 그룹의 상태값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인스턴스 수명 주기 및 상태값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dis 사용자 계정

현재 완전 관리형 Redis 서비스는 사용자를 위해 암호없는 default 계정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Client에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암호 없는 default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하게 됩니다.

안내
임의의 계정 생성과 암호 설정 기능은 추후 지원 예정입니다.

명령어 제한

원활한 서비스 운영 및 관리를 위해 다음 명령어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사용을 시도할 경우 NOPERM 에러를 리턴합니다.

Redis 명령어 제한

ACL BGREWRITEAOF BGSAVE CLIENT PAUSE CLUSTER CONFIG
DEBUG FAILOVER FLUSHALL FLUSHDB KEYS MIGRATE
MODULE PSYNC REPLCONF REPLICAOF RESTORE-ASKING SAVE
SHUTDOWN SLAVEOF SORT SY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