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러스터 관리하기

페이지 이동경로

클러스터 관리하기

Kubernetes Engine 서비스에서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러스터 목록 보기

현재 생성된 클러스터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Kubernetes Eng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Cluster 탭에서 현재 생성된 클러스터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클러스터 목록 화면 이미지 클러스터 목록 화면

    구분 설명
    클러스터 이름 클러스터의 이름
    클러스터 상태 클러스터의 상태 정보
    - Provisioned: 클러스터 프로비저닝 완료
    - Pending: 클러스터 프로비저닝 준비 중
    - Provisioning: 클러스터 프로비저닝 중
    - Deleting: 클러스터 삭제 중
    - Failed: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한 실패 상태
    Kubernetes 버전 클러스터의 Kubernetes 버전 정보
    기능 [kubectl] 버튼 클릭 시 kubectl 제어 설정 가능
    [더보기] 아이콘 - 클러스터 설정: 클러스터의 이름, 생성일 설명 확인
    - 자동 축소 설정: 자동 확장을 설정한 노드 풀의 자동 축소 조건 설정
    - 클러스터 삭제: 해당 클러스터를 삭제

클러스터 설정 보기

클러스터의 이름, 생성일, 설명을 확인 및 수정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Kubernetes Eng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Cluster 탭에서 설정할 클러스터의 [더보기] 아이콘 > 클러스터 설정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클러스터 설정 버튼 이미지 클러스터 설정

  3. 클러스터 설정 팝업창에서 정보를 확인합니다.
    • 설정 수정 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클러스터 설정 모달 이미지 클러스터 설정 팝업창

    구분 설명
    클러스터 이름 현재 클러스터의 이름
    클러스터 생성일 클러스터의 생성 날짜
    클러스터 설명(선택) 클러스터 생성 시 작성한 설명
    - 60자 이내로 클러스터 설명 수정 또는 작성 가능

클러스터 검색하기

클러스터 필터를 통해 클러스터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Kubernetes Eng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Cluster 탭의 클러스터 필터에서 검색할 클러스터를 입력합니다.

    이미지. 클러스터 검색 미리보기

    이미지 클러스터 검색하기

클러스터 상세 보기

클러스터의 세부 정보, 노드 풀, 노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Kubernetes Eng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Cluster 탭에서 상세 정보를 확인할 클러스터를 클릭합니다.
  3. 클러스터의 상세 페이지에서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세부 정보탭 이미지 클러스터 상세 페이지

    구분 설명
    클러스터 상태 해당 클러스터의 상태
    Kubernetes 버전 현재 사용 중인 Kubernetes 버전
    기능 - [kubectl] 버튼: 버튼 클릭 시 kubectl 제어 설정
    - [자동 축소 설정] 버튼: 자동 확장을 사용하는 노드 풀 노드의 리소스 사용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될 때 노드 수를 자동으로 축소하는 상세 조건을 설정

클러스터 세부 정보 확인

클러스터 ID, 생성일, 전체 vCPU 개수 등 클러스터의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Kubernetes Eng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Cluster 탭에서 세부 정보를 확인할 클러스터를 클릭합니다.
  3. 세부 정보 탭에서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세부 정보 탭

    구분 설명
    클러스터 ID 클러스터의 고유 ID 값
    생성일 클러스터의 생성일
    - 생성 요청 이후 응답받은 시간을 기준으로 표시
    전체 vCPU 클러스터 내 워커 노드들의 vCPU 총합
    전체 메모리 클러스터 내 워커 노드들의 메모리 총합
    VPC 클러스터가 배포된 VPC
    서브넷 클러스터가 배포된 서브넷
    시큐리티 그룹 클러스터 내 워커 노드들에게 적용된 시큐리티 그룹
    API 서버 엔드포인트 클러스터 API를 호출할 엔드포인트

노드 풀 정보 확인

클러스터 내 노드 풀과 노드 풀에 속한 노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Kubernetes Eng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Cluster 탭에서 노드 풀 정보를 확인할 클러스터를 클릭합니다.
  3. 노드 풀 탭을 클릭한 후,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노드 풀탭 이미지 노드 풀 탭

    구분 설명
    노드 풀 필터 필터를 통해 노드 풀 검색
    [노드 풀 만들기] 버튼 클릭 시 신규 노드 풀 생성
    노드 풀 노드 풀의 이름 및 설명
    - 노드 풀 이름 클릭 시, 노드 풀 상세 페이지로 이동
    노드 풀 상태 노드 풀의 상태
    - Running: 노드 풀 정상 실행 중(노드 상태와는 무관)
    - Running (Scheduling Disable): 노드 풀의 모든 노드가 스케줄링 차단된 상태
    - ScalingUp: 노드 개수 확장 중
    - ScalingDown: 노드 개수 축소 중
    - Deleting: 노드 풀 삭제 중
    - Failed: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한 실패 상태
    Kubernetes 버전 노드 풀의 노드가 현재 사용 중인 Kubernetes 버전
    인스턴스 타입 노드 풀의 노드에서 사용하는 인스턴스 타입
    볼륨 크기 노드 풀의 노드에서 사용하는 인스턴스의 볼륨 크기
    노드 수 현재 노드 풀에 속한 노드 수

노드 정보 확인

클러스터에 속한 모든 노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Kubernetes Eng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Cluster 탭에서 노드 정보를 확인할 클러스터를 클릭합니다.
  3. 노드 탭을 클릭한 후,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노드 정보탭 이미지 노드 정보 탭

    구분 설명
    노드 노드 이름 및 설명
    - 노드 이름 클릭 시 노드 상세 페이지로 이동
    노드 상태 노드 상태 정보
    - Running: 노드가 준비되어 실행 중
    - Running (Scheduling Disable): 해당 노드로 신규 스케줄링 차단된 상태 (이미 할당되어 실행 중인 파드와는 무관)
    - Provisioned: 노드 프로비저닝 완료
    - Deleted: 노드 삭제 완료
    - Pending: 노드 프로비저닝 준비 중
    - Provisioning: 노드 프로비저닝 중
    - Deleting: 노드 삭제 중
    - Failed: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한 실패 상태
    노드 풀 노드가 속한 노드 풀의 정보
    - 노드 풀 클릭 시, 노드 풀 상세 페이지로 이동
    사설 IP 노드의 사설 IP 정보
    생성 요청 시간 노드의 생성이 요청된 후 경과된 시간으로, 노드의 생성일을 의미하지 않음

클러스터 자동 축소 설정하기

자동 확장을 설정한 클러스터의 노드 풀에 적용되는 자동 축소 조건을 설정합니다.
특정 노드 풀의 노드 리소스 사용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될 때 노드 수를 자동으로 감소하는 조건이며, 자동 축소 조건은 클러스터 단위로 설정 가능하여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 풀에 공통으로 적용됩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Kubernetes Eng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Cluster 탭에서 자동 축소를 설정할 클러스터의 [더보기] 아이콘 > 자동 축소 설정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자동 축소 설정하기 이미지 자동 축소 설정하기

  3. 자동 축소 설정 팝업창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자동 축소 설정 팝업창 이미지 자동 축소 설정 팝업창

    구분 설명
    클러스터 내 노드 풀 자동 축소 클러스터의 노드 풀 중 자동 확장 기능을 사용하는 모든 노드 풀의 자동 축소 사용 여부를 설정
    - 기본값: 사용함
    자동 축소 임계치 조건 노드 수를 자동으로 축소하는 기준인 노드 리소스(CPU/Memory) 사용량의 임계치
    - 입력 가능 범위 : 1~100
    - 기본값: 50%
    임계치 지속 시간 노드의 리소스 사용량이 자동 축소 임계치 조건 이하로 유지되는 일정 시간 기준
    - 입력 가능 범위 : 1~1440
    - 기본값: 10분
    증설 후 자동 축소 모니터링 제외 시간 노드를 자동 증설한 후, 자동 축소를 위한 노드 모니터링에 일정 시간동안 포함하지 않는 시간
    - 입력 가능 범위 : 10~1440
    - 기본값: 10분

클러스터 삭제하기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클러스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주의
클러스터 삭제 시, 클러스터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생성된 리소스도 함께 삭제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클러스터/노드 풀 생성 시 자동 생성 리소스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자동 생성된 시큐리티 그룹에 노드가 아닌 별도의 인스턴스를 연결해두었다면, 해당 시큐리티 그룹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Kubernetes Engine 메뉴를 선택합니다.
  2. Cluster 탭에서 삭제할 클러스터의 [더보기] 아이콘 > 클러스터 삭제를 클릭합니다.

    이미지. 클러스터 삭제 이미지 클러스터 삭제

  3. 클러스터 삭제 팝업창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클러스터 삭제 모달

    이미지 클러스터 삭제 팝업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