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턴스 생성하기

페이지 이동경로

인스턴스 생성하기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File Storage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저장 공간을 할당할 가상 서버인 인스턴스(Instance)를 생성해야 합니다. File Storage 서비스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내
현재(2022.09.23.) File Storage 서비스는 Beta 버전으로, Basic 유형의 인스턴스 용량은 1.0~1.5 TB로 할당이 가능합니다. 추후 정식 오픈 시, 1.0~10.0TB까지 할당할 수 있도록 지원 예정입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File Storage 메뉴를 선택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File Storage 메뉴

  2. Instance 탭에서 [인스턴트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File Storage 만들기 버튼

  3. 인스턴트 만들기에서 정보를 입력하고,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인스턴트 만들기

    구분 설명
    기본 설정 인스턴스 이름: 생성할 인스턴스의 이름
    - 영문 소문자, 숫자, 붙임표(-), 밑줄(_) 만 입력 가능
    - 글자 수: 2~256자 이내
    - 이름 예시: fsinstance-01
    - 같은 프로젝트 내에서 중복된 인스턴스 이름 사용 불가
    인스턴스 설명(선택): 생성할 인스턴스에 대한 설명
    - 256자 이내 입력
    - 이모지 입력 불가
    프로토콜 마운트 하여 사용할 서버의 OS에 적절한 프로토콜 선택
    - 현재 리눅스 서버의 NFS 프로토콜만 제공(추후 프로토콜 확대 예정)
    - NFS 프로토콜은 Ubuntu, CentOS 등을 지원
    - File Storage는 NFS v4만 지원하고 있으며, 2049 port를 사용 중
    인스턴스 타입 현재 Basic 타입만 제공
    - 사용자 환경에 적절한 타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확대 예정
    - 자세한 설명은 인스턴스 타입 참고
    볼륨 크기 볼륨 크기 설정
    - 적절한 볼륨의 크기를 입력하여 할당
    - 타입별 할당 가능한 최소, 최대 볼륨 크기가 상이함
      ㄴ 현재 제공 중인 Basic 타입 인스턴스의 할당 가능 크기는 1.0~1.5TB로, 0.1TB 단위로 입력 가능
      ㄴ Basic 타입 예시: “1.4TB”와 같이 입력 가능
    - 인스턴스 생성 이후 볼륨 크기 수정 불가하여 충분한 크기로 생성 필요(볼륨 증설 기능 추후 지원 예정)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인스턴스를 구성할 네트워크 선택
    서브넷: IP 주소에서 네트워크를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 네트워크
    - 네트워크에 생성된 서브넷 중 1개 선택
    접근 제어 설정 File Storage 인스턴스로 접근 가능한 자원을 설정
    - 설정된 네트워크 내 모든 사설 IP에서의 접근을 허용합니다.: 동일한 네트워크 내 자원에서는 별도 접근 허용 설정 없이 접근 가능
    - 설정된 네트워크 내 허용된 사설 IP 주소에서만 접근을 허용합니다.: 생성된 특정 자원의 사설 IP만 접근 허용(최대 30개)

    * 참고
      - 타 프로젝트와 공유하는 Network를 선택할 경우,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타 프로젝트의 자원에서도 마운트 가능
      - 서브넷간 접근이 지원되지 않을 경우, IP 주소를 입력하여 접근 설정을 하더라도 접근할 수 없음
    마운트 정보 설정 파일 공유 이름 설정: 마운트 포인트로 사용할 파일 공유 이름 설정
    - 영문 소문자, 숫자, 붙임표(-), 밑줄(_)만 입력 가능
    - 글자 수: 2~255자 이내
    - 이름 예시: fileshare-01
    - 하단의 표. 생성할 수 없는 리눅스 디렉터리 이름 참고

생성할 수 없는 리눅스 디렉터리 이름

bin lib media run usr
boot lib32 mnt sbin var
dev lib64 opt srv etc
libx32 proc sys home lost+found
root t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