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관리하기

페이지 이동경로

서비스 관리하기

CDN 서비스에서 서비스(Service)를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비스 목록 보기

현재 생성된 서비스 목록과 서비스의 기본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CDN 메뉴를 선택합니다.
  2. Service 탭을 클릭 후 서비스 목록을 확인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서비스 목록

    구분 설명
    서비스 필터 서비스를 원하는 조건으로 검색
    - 필터 속성(이름, 상태, 생성자)을 선택하거나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
      ㄴ 필터 없이 검색 시, 최종 배포일을 제외한 모든 속성을 대상으로 검색 가능
    이름 서비스의 이름
    서비스 도메인 CDN을 적용한 서비스의 도메인
    상태 서비스의 상태
    - Running, Failed to deploy, Stopped, Provisioning
    - 각 상태값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CDN 상태 정보를 참고
    최종 배포일 서비스의 최종 배포 날짜
    생성자 서비스를 처음 생성 요청한 사용자
    - IAM에서 유저가 삭제 시 표기되지 않음
    [더보기] 아이콘 서비스 상세 관리 기능
    - 자세한 설명은 서비스 더보기 참고

서비스 더보기

서비스별로 [더보기] 아이콘을 선택하여 아래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CDN 메뉴를 선택합니다.
  2. Service 탭 > 서비스 목록에서 [더보기] 아이콘을 클릭한 후, 아래 기능을 실행합니다.

서비스 더보기 기능

기능 설명
시작 또는 재시작 서비스를 배포 혹은 재배포하는 상태로 전환
정지 서비스를 종료
- 해당 서비스의 배포를 중단하며, 서비스가 비활성화되고 콘텐츠에 대한 요청에 응답할 수 없음
삭제 서비스를 삭제
- 삭제한 서비스는 복구할 수 없음
Purge 요청 Purge 요청하기 위한 팝업창을 실행
Running 상태에만 가능
직전 설정을 되돌리기 직전 설정을 되돌리기 위한 팝업창을 실행
Running 상태와 이미 배포했던 서비스만 가능
오리진 서버 설정 오리진 서버를 설정하기 위한 팝업창을 실행
캐시 설정 캐시 설정하기 위한 팝업창을 실행
뷰어 프로토콜 정책 설정 뷰어 프로토콜 정책 설정하기 위한 팝업창을 실행
리퍼러 헤더 설정 리퍼러 헤더 설정하기 위한 팝업창을 실행
루트 경로 접근 관리 설정 루트 경로 접근 관리 설정하기 위한 팝업창을 실행

서비스 상세 보기

서비스의 정보와 Purge 로그 등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CDN 메뉴를 선택합니다.
  2. Service> 서비스 목록에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3. 서비스의 상세 페이지에서 정보를 확인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서비스 상세 페이지

    구분 설명
    서비스 상태 서비스의 상태
    서비스 도메인 CDN을 적용한 서비스의 도메인
    최종 배포일 서비스의 최종 배포 날짜
  4. 서비스 정보 탭에서 CDN 서비스, 캐시, Access Control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이미지 서비스 정보 탭

    구분 설명
    CDN 서비스 서비스 관련 전체 정보
    캐시 캐시 정책, 캐시 유지 기간 등의 캐시 정보
    Access Control 뷰어 프로토콜 정책, 리퍼러 헤더, 루트 경로 등의 Access Control 설정 정보
  5. Purge 로그 탭에서 Purge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최근 30일간 발생한 Purge 로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해당 로그는 자정마다 삭제됩니다.

    이미지 이미지 Purge 로그 탭

    구분 설명
    Purge 로그 필터 Purge 로그를 원하는 조건으로 검색
    - 필터 속성(작업자)을 선택하거나 원하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
      ㄴ 필터 없이 검색 시, 적용 일시를 제외한 모든 속성을 대상으로 검색 가능
    경로 Purge 요청한 대상 경로
    상태 Purge 요청의 상태
    적용 일시 Purge 요청하여 적용된 날짜
    작업자 Purge 요청한 사용자

서비스 삭제하기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주의
삭제한 서비스는 복구할 수 없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CDN 메뉴를 선택합니다.
  2. Service 탭을 클릭 후 서비스 목록에서 삭제할 서비스의 [더보기] 아이콘 > 삭제를 클릭합니다.

  3. CDN 서비스 삭제 팝업창에서 서비스의 이름을 입력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CDN 서비스 삭제 팝업창

Purge 요청하기

Purge는 캐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삭제한 후 재배포하는 기능입니다. 서비스의 상태가 Running일 때 Purge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Purge를 요청하면 호스트 서버의 캐싱 콘텐츠를 제거하여 오리진 서버의 최신 콘텐츠로 갱신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CDN 메뉴를 선택합니다.
  2. Service 탭을 클릭 후 서비스 목록에서 Purge 요청할 서비스의 [더보기] 아이콘 > Purge 요청을 클릭합니다.
  3. Purge 요청 팝업창에서 선택한 서비스의 이름을 확인하고, 요청하고 싶은 Purge의 대상 경로를 입력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Purge 요청 팝업창

    구분 설명
    대량 등록 에디터 많은 양의 Purge 대상을 입력하고 싶은 경우 사용
    심플 에디터 개별적으로 Purge 대상을 입력하고 싶은 경우 사용

직전 배포 설정으로 되돌리기

서비스 상태가 Running이고 이미 배포를 했던 서비스의 경우, 직전 배포 설정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CDN 메뉴를 선택합니다.
  2. Service 탭을 클릭 후 서비스 목록에서 직전 배포 설정으로 되돌릴 서비스의 [더보기] 아이콘 > 직전 설정으로 되돌리기를 클릭합니다.
  3. 직전 설정으로 되돌리기 팝업창에 선택한 서비스의 최종 배포일을 확인하고, [되돌리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직전 배포 설정으로 되돌리기 팝업창

오리진 서버 설정하기

오리진 서버란 CDN으로 배포할 원본 콘텐츠를 저장하는 서버입니다. CDN 서비스에 오리진 서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CDN 메뉴를 선택합니다.
  2. Service 탭을 클릭 후 서비스 목록에서 오리진 서버를 설정할 서비스의 [더보기] 아이콘 > 오리진 서버 설정을 클릭합니다.
  3. 오리진 서버 설정 팝업창에서 선택한 서비스의 이름을 확인한 후, 변경할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오리진 서버 팝업창

    구분 설명
    서비스 설명(선택) CDN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입력
    - 한글, 영문, 숫자, 붙임표(-)만 0~100자 이내 입력
    오리진 서버 프로토콜 오리진 서버 프로토콜 선택
    HTTP: 오리진 서버에서 KiC Object Storage 선택 시 지원 안 함
      ㄴ 포트 번호: 80(기본값)
    HTTPS
      ㄴ 포트 번호: 443(기본값)
    오리진 서버 포트 번호 오리진 서버 포트 번호 입력
    - 양의 정수만 입력 가능
    오리진 서버 경로 (선택) 오리진 서버의 경로를 입력
    - {URL}/{path} 형식의 오리진 서버 경로 입력
    * Object Storage로 연동 시, Object Storage > 선택한 버킷의 상세 페이지 > 권한 탭에서 퍼블릭 액세스 허용을 반드시 설정해야 함
      ㄴ 자세한 설명은 버킷 접근 설정하기를 참고
      ㄴ 버킷 생성 및 관리는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 > Object Storage에서 가능
    Gzip Compression Gzip Compression 사용 여부 선택

캐시 설정하기

CDN 서비스에서는 오리진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원본 콘텐츠를 별도의 캐시 서버에 복사하여 분산 저장합니다. CDN 서비스에 캐시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안내
‘이미지(jpg) 파일 최적화’ 항목을 사용 안함으로 변경한 후 저장하면, 즉시 반영되는 것이 아닌 TTL 만큼 기존 객체를 응답하다 해제된 객체를 응답하게 됩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CDN 메뉴를 선택합니다.
  2. Service 탭을 클릭 후 서비스 목록에서 캐시 설정할 서비스의 [더보기] 아이콘 > 캐시 설정을 클릭합니다.
  3. 캐시 설정 팝업창에서 선택한 서비스의 이름을 확인한 후, 변경할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캐시 설정 팝업창

    구분 설명
    만료 정책 캐시 만료 정책을 선택
    오리진 서버 참조: 오리진 서버의 Cache-Control 헤더를 우선 참조
    사용자 설정: 사용자가 설정한 유지 기간동안 캐싱
    유지 기간 캐시 유지 기간을 입력
    - 최대 30일 까지 설정
    URL Query String URL Query String 포함 여부 선택
    이미지(jpg) 파일 최적화 이미지(jpg) 파일 최적화 사용 여부 선택
    - 이미지 원본 파일 크기 : 최대 10MB까지 가능
    - 제공 파일 형식 : jpg, jpeg, png, gif
    * png 파일의 경우, 최적화 후 원본 파일 크기보다 용량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뷰어 프로토콜 정책 설정하기

CDN 서비스의 뷰어 프로토콜 정책을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CDN 메뉴를 선택합니다.
  2. Service 탭을 클릭 후 서비스 목록에서 뷰어 프로토콜 정책을 설정할 서비스의 [더보기] 아이콘 > 뷰어 프로토콜 정책 설정을 클릭합니다.
  3. 뷰어 프로토콜 정책 설정 팝업창에서 선택한 서비스의 이름을 확인한 후, 변경할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뷰어 프로토콜 정책 설정 팝업창

리퍼러 헤더 설정하기

CDN 서비스의 리퍼러 헤더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CDN 메뉴를 선택합니다.
  2. Service 탭을 클릭 후 서비스 목록에서 리퍼러 헤더를 설정할 서비스의 [더보기] 아이콘 > 리퍼러 헤더 설정을 클릭합니다.
  3. 리퍼러 헤더 설정 팝업창에서 선택한 서비스의 이름을 확인한 후, 변경할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리퍼러 헤더 설정 팝업창

루트 경로 접근 관리 설정하기

CDN 서비스의 루트 경로 접근 관리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1.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에서 CDN 메뉴를 선택합니다.
  2. Service 탭을 클릭 후 서비스 목록에서 루트 경로를 재설정할 서비스의 [더보기] 아이콘 > 루트 경로 접근 관리 설정을 클릭합니다.
  3. 루트 경로 설정 팝업창에서 선택한 서비스의 이름을 확인한 후, 변경할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미지 루트 경로 설정 팝업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