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e Metal Server
카카오 i 클라우드(Kakao i Cloud)의 Bare Metal Server는 성능을 나누지 않고 하드웨어 자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단독 서버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고성능 인스턴스와 네트워크 자원을 제공하며, 서버로 사용할 수 있는 인스턴스와 이에 필요한 이미지, 키페어 등의 자원을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안내
카카오 i 클라우드의 Bare Metal Server 서비스는 VPC(Virtual Private Cloud) 환경에서 제공됩니다. 논리적으로 분리된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인스턴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특장점
최신 하드웨어 경험
카카오 i 클라우드 베어 메탈 서버는 전문 워크로드에 대한 지연 시간이 짧은 x86-64 서버 하드웨어를 제공합니다. 카카오 i 클라우드가 서버 하드웨어, 네트워킹, 시설, 핵심 인프라를 관리하므로 사용자는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을 사용하여 베어 메탈 서버를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 i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베어 메탈 유형은 물리적 서버 자원을 직접 액세스할 수 있는 인스턴스로, m2a.baremetal, m1i.baremetal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AMD EPYC 프로세서와 인텔 Xeon 프로세서를 사용하며,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등의 물리적 리소스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성능, 속도, 안정성 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가상화할 수 없는 워크로드에 적합
높은 성능이 필요하고 안정성이 중요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때 적합합니다. AI/ML과 같이 일부 워크로드는 빠른 데이터 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기술적 요구사항, 라이선스 제한사항, 전문 소프트웨어 등의 이유로 가상화보다 베어메탈에서 실행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 높은 안정성과 높은 사양의 컴퓨팅 자원이 필요한 대규모 IT 서비스 (게임, 미디어 등)
- 독립적인 인프라 환경에서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 (교육, 금융 등)
- 라이선스 이슈로 가상화 자원 상에서 운영할 수 없는 서비스 (Oracle DBMS 라이선스 등)
표 Bare Metal Server 주요 기능
주요 기능 | 설명 |
---|---|
원격 접속 | 원격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명령어를 실행하거나, 시스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원격 전원 관리 | 서버의 전원을 원격으로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
하드웨어 모니터링 | 서버의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 자원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설정 | VPC 설정을 통해 서버의 Public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등의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보안 설정 | iptable 등을 이용해 직접 서버 보안 설정을 할 수 있고, IAM 기능을 통해 사용자 인증, 권한 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운영체제 제공 | 카카오 i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베어메탈용 운영체제 중에 사용자가 자기한테 맞는 운영체제를 선택하여 사용가능합니다. - GPU 드라이버와 같은 특정 드라이버 패치는 사용자가 직접 서버 내부에서 설치해서 사용하거나 KiC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이미지(GPU 이미지)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개념
Bare Metal Server 서비스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Bare Metal Server 주요 개념
구분 | 설명 |
---|---|
인스턴스 | 가상화된 하드웨어 리소스 가상 머신으로 이루어진 컴퓨팅 환경에서 다양한 인스턴스 타입의 서버 구성 가능 |
이미지 | 운영체제(OS)와 애플리케이션 템플릿 |
키페어 | 인스턴스 접근 보안을 위한 키 |
네트워크 | VPC 환경에서 네트워크 요구사항에 따라 논리적으로 분리된 서비스 환경 구축 |
역할 관리 | IAM 역할 기반 액세스 제어(RBAC)를 따르며, 제품 내에 모든 리소스는 프로젝트 하위로 생성되어 관리 |
인스턴스
베어 메탈 인스턴스는 가상화되지 않은 물리적 서버에 운영 체제 및 및 관련 소프트웨어가 유일하게 설치된 것을 의미합니다. 인스턴스는 운영 상태와 작업 상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상태값을 가지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타입
인스턴스 타입은 가상 CPU(vCPU)와 시스템 메모리를 포함한 가상화된 하드웨어 리소스입니다.
카카오 i 클라우드 콘솔은 워크로드에 따라 최적화된 인스턴스 타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타입을 지원합니다. 인스턴스 생성 시 인스턴스 타입을 선택할 수 있으며, 리소스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청구됩니다.
인스턴스 타입은 범용(Standard), 컴퓨팅 최적화(CPU Optimized), 메모리 최적화(Memory Optimized), 가속화 컴퓨팅(GPU)으로 특화된 타입을 제공하며, 타입 종류는 지속적으로 추가될 예정입니다.
제공하는 인스턴스 타입 정보는 카카오 i 클라우드 공식 사이트 > Bare Metal Server의 요금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스턴스 수명주기
인스턴스는 운영 및 작업 등 다양한 상태값을 가지며, 인스턴스 생성부터 반납까지의 과정을 인스턴스의 상태값 및 수명주기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관리 기능을 수행합니다. Bare Metal Server에서 제공하는 인스턴스의 수명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 인스턴스 수명주기 설명
구분 | 이름 | 설명 | 과금 여부 |
---|---|---|---|
명령(기능) | 시작 | 인스턴스를 시작(start) | - |
명령(기능) | 정지 | 인스턴스를 정지(stop) | - |
명령(기능) | 종료 | 인스턴스가 실행 중이며 사용 가능한 상태 | - |
명령(기능) | 강제 재시작 | 인스턴스를 강제 재시작(hard reboot) | - |
명령(기능) | 인스턴스 리빌드 | 인스턴스 OS 이미지 재설치 및 키페어 재설정을 수행 | - |
명령(기능) | 삭제 | 인스턴스를 완전히 삭제 | - |
인스턴스 상태 | Spawning | 인스턴스를 생성 중 | 비과금 |
인스턴스 상태 | Active | 인스턴스 실행 중 | 과금 |
인스턴스 상태 | Stopped | 인스턴스가 정지되었으나, 하이퍼바이저 상에 리소스는 그대로 할당된 상태 | 과금 |
인스턴스 상태 | Rebuild_spawning | 인스턴스 리빌드 중 | 과금 |
인스턴스 상태 | Rebooting_hard | 인스턴스 강제 재시작이 시작됨 | 과금 |
인스턴스 상태 | Rebooting_started_hard | 인스턴스를 강제 재시작 중 | 과금 |
인스턴스 상태 | Powering-off | 인스턴스를 정지 중 | 과금 |
인스턴스 상태 | Powering-on | 정지된 인스턴스를 재시작 중 | 과금 |
인스턴스 상태 | Error | 인스턴스에 오류가 발생하여,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 | 비과금 |
인스턴스 상태 | Deleting | 인스턴스를 완전히 삭제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 | 비과금 |
이미지
용도에 따라 필요한 운영체제(OS)와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인스턴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안내
카카오 i 클라우드의 Bare Metal Server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이미지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없으며, 카카오 i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기본 이미지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표 제공 이미지
구분 | kr-central-2 |
---|---|
Linux | Ubuntu 18.04 - Bare Metal |
Ubuntu 20.04 - Bare Metal | |
Ubuntu 18.04 - Bare Metal (GPU) | |
Ubuntu 20.04 - Bare Metal (GPU) | |
CentOS 7.9 - Bare Metal | |
Windows | 제공 예정 |
키페어
키페어(Key Pair)란 인스턴스 연결 시 자격 증명 입증에 사용되는 키로, 공개키(public key)와 개인키(private key)로 구성됩니다.
네트워크
모든 Bare Metal Server 인스턴스는 VPC 환경에서 제공합니다. 필요한 네트워크 요구사항에 따라 논리적으로 분리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안내
네트워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VPC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역할 관리
Bare Metal Server 서비스에서의 역할 관리는 IAM 역할 기반 액세스 제어(RBAC)를 따르며, 제품 내 모든 자원(Resource)은 프로젝트 하위로 생성되어 관리됩니다. 프로젝트 관리자 또는 프로젝트 멤버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프로젝트 하위의 모든 리소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단, 키페어는 해당 키페어를 생성한 소유자만 삭제할 수 있습니다.
표 IAM 역할별 권한
권한 | 프로젝트 관리자 | 프로젝트 멤버 |
---|---|---|
프로젝트 멤버 관리 | ✓ | |
공인 IP 연결 설정 | ✓ | |
인스턴스 관리 | ✓ | ✓ |
볼륨 | ✓ | ✓ |
이미지 | ✓ | ✓ |
키페어 | ✓ | ✓ |
사용 가이드
안내
카카오 i 클라우드의 Bare Metal Server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사용 가이드는 Bare Metal Server > How-to Guides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표 Bare Metal Server 사용 가이드
문서 | 설명 |
---|---|
인스턴스 생성 및 연결하기 | 인스턴스를 생성 및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인스턴스 관리하기 | 인스턴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키페어 관리하기 | 키페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멀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하기 |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이 필요한 경우, 멀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iptables 설정하기 | 방화벽 설정을 위해 필터링을 적용하기 위한 iptables를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
GPU 사용하기 | GPU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GPU를 사용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