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검사

페이지 이동경로

맞춤법 검사

카카오 i 클라우드 맞춤법 검사 API는 사용자가 입력한 한국어 문장에서 철자, 띄어쓰기, 의미, 문법 오류 등의 맞춤법을 검사하여 알맞은 교정을 제시합니다. 카카오 i 클라우드의 맞춤법 검사 API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며, 고객사의 비즈니스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띄어쓰기 교정만 제공하도록 API를 호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맞춤법 검사 API가 제공하는 항목별 교정 범위

구분 항목 설명 예시
철자 오탈자 대치할 표준어가 존재할 때 교정 간난애기 → 갓난애기
  외래어 외래어 표기법 규정 및 용례에서 정의하고 있는 형태만 ‘표준어’로 삼음 솔루션 → 설루션
  신조어 대치할 표준어가 존재할 때 교정 알바생 → 아르바이트생
  순화어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의 잘못’ 또는 ‘ →’으로 명확히 표기하는 경우 교정 우동 → 가락국수
  방언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라 표준어로 교정 정구지 → 부추
띄어쓰기   ‘한글 맞춤법 제5장 띄어쓰기’ 규정을 기준으로 띄어쓰기 교정 (단, 빈번히 쓰이는 복합명사의 붙여 쓰기를 허용) 맞춤법검사기입니다. → 맞춤법 검사기입니다.
의미   단어 간 의미가 어울리지 않을 경우 교정 카드 결재 → 카드 결제
기록 갱신 → 기록 경신
장례 희망 → 장래 희망
심여를 기울인 → 심혈을 기울인
문법 오류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및 ‘표준어 규정’을 기준으로 문법 오류 교정 재현률 → 재현율
녹록치 → 녹록지
좋느냐 → 좋으냐
알맞은 → 알맞는
컴퓨터을 → 컴퓨터를

입력 형식과 제약 사항

카카오 i 클라우드의 맞춤법 검사 API는 어절, 문장, 문서로 구분된 입력 형식을 가집니다.
어절(Word)은 공백으로 구분된 연속된 문자열로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는 최소 단위입니다. 문장(Sentence)은 하나 이상의 어절로 이루어지며, 개행 문자(\n)로 구분됩니다. 한 문장의 길이는 공백을 포함하여 최대 5,000자로 제한됩니다. 문서(Text)는 실제 문서가 아닌 연속된 문장의 집합으로, 최대 50,000자로 입력이 제한됩니다. 문서는 공백 문자와 개행 문자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 구성됩니다.
카카오 i 클라우드의 맞춤법 검사 API는 제한 범위를 초과 한 입력에 대해서는 검사를 수행하지 않고, 응답 코드 400 오류로 결과를 반환합니다. 따라서 대용량 문서에 대해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려는 경우에는 50,000자 이내로 문서를 분할하여 API 호출을 수행하시기 바랍니다.

제약사항

구분 정의 예시 제약사항
어절 공백으로 구분된 하나의 연속된 문자열
- 맞춤법 검사 최소 단위
- 복합명사의 경우 형태소 분석 결과에 의해 어절 개수가 변동될 수 있음
한 어절인 코로나백신코로나백신, 두 어절의 결과로 출력  
문장 개행 문자인 \n 로 구분된 텍스트
- 여러 어절을 구성한 집합 단위이며, 연속된 문장으로 설정하는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공백 포함
-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및 표준어 규정 → 하나의 문장
-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n 및 표준어 규정 → 두 개의 문장
-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및 표준어 규정 \n → 두 개의 문장(두 번째 문장은 null로 인식)
5,000글자
문서 연속된 문자열로 구성된 입력 텍스트 전체
- 여러 문장을 구성한 집합 단위며, 실질적인 문서의 형태를 의미하지는 않음
- 공백과 개행 문자인 \n을 포함
- 한글 맞춤법 규정\n본문\n제 1장 총칙\n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 네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문서 50,000글자

API 제공 기능

카카오 i 클라우드의 맞춤법 검사 API의 지원 범위 및 제공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내
도움말 제공 옵션 사용 시, 교정 결과에 대한 도움말 설명과 예문은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자료를 활용하였음을 밝힙니다.

구분 설명
지원 언어 한국어
맞춤법 검사 국립국어원 맞춤법 어문 규정에 따라 검사 수행
- 철자, 띄어쓰기, 의미, 문법 오류 검사
띄어쓰기만 교정 옵션 띄어쓰기 교정만 수행하는 옵션
다양한 분석 옵션 국립국어원 맞춤법 어문 규정 중 일부 교정을 제외하고 교정을 수행하는 옵션
- “꽃보다 할배”와 같은 프로그램명에서 ‘할배’의 교정 여부를 옵션으로 선택 가능
< 교정 제외 옵션 >
- 신조어 교정 제외
- 순화어 교정 제외
- 방언 교정 제외
- 외래어 교정 제외
- 외래어 치환 제외
도움말 제공 옵션 교정 결과에 대한 설명과 예문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옵션
- 교정 결과에 대한 설명과 예문의 출처: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안내
맞춤법 검사 API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API Reference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